<welcome>

넷마블 기술 블로그입니다.

</welcome>

Stage

제목 스타일 단계는 문서 구조의 기둥과 보

제목 스타일 단계는 문서 구조의 기둥과 보

“제목”에 관한 이야기를 들려드리려고 합니다. 각 용도에 맞춰서 너무 구속받지 않는 범위에서 자유롭게 사용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제목은 딱 시점을 지정할 수 없는 과거부터 흔하게 써온 대표 양식입니다. 쓰는 위치나 목적에 따라 표제, 대제, 중제, 소제, 원제, 부제 등 종류도…

잠깐 20초만 한눈을 팔면, 멈춰 서는 WSL

잠깐 20초만 한눈을 팔면, 멈춰 서는 WSL

nohup은 리눅스와 유닉스 시스템에서 프로세스를 백그라운드로 실행하고, 터미널 세션이 종료돼도 해당 프로세스가 계속 실행되도록 하는 명령어입니다. 뒤에 &를 붙여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파워셸의 Start-Process를 실행하면서, WindowStyle Hidden 옵션을 붙여…

글로벌 게임 퍼블리싱을 위한 해외 유저 테스트 VPN 서비스

글로벌 게임 퍼블리싱을 위한 해외 유저 테스트 VPN 서비스

넷마블은 전 세계 다양한 국가에서 즐길 수 있는 게임을 퍼블리싱합니다. 같은 게임이더라도 서비스 권역 국가마다 법적 규제가 다르기에 특정 국가에서는 접속할 수 없도록 막아야 하는 경우도 생기고, 거꾸로 특정 국가에서만 접속할 수 있게 제한해야 하는 서비스도 있습니다…

넷마블 테크니컬 라이터로 일한 8개월의 회고

넷마블 테크니컬 라이터로 일한 8개월의 회고

기술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여러 가지 넷마블의 이야기를 소개했지만 정작 기술 블로그를 운영하는 테크니컬 라이터의 이야기를 한 적은 없더라고요. 이번에는 넷마블 테크니컬 라이터로 8개월간 일했던 회고를 중심으로 테크니컬 라이터가 어떤 일을 하는지 소개해 보려고 합니다.

[여기보기] WAS의 정보는 개인정보 다루듯이 보호하라

[여기보기] WAS의 정보는 개인정보 다루듯이 보호하라

WAS의 정보는 보안 입장에서 개인정보와 같은 개념입니다. WAS 종류, 버전, 서버 운영체제 정보 등은 기본 설정 그대로를 사용하면 은연 중에 노출됩니다. 그리고 알려진 취약점을 이용해 공격자가 WAS에 문제를 일으키기 쉽습니다. 이 글에서는 WAS의 정보가 담긴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여기보기] 적에게 내 WAS의 디렉터리와 파일을 알리지 말라, WAS 디렉터리 인덱싱 및 상위 디렉터리 접근 제한

[여기보기] 적에게 내 WAS의 디렉터리와 파일을 알리지 말라, WAS 디렉터리 인덱싱 및 상위 디렉터리 접근 제한

공개 배포해야 하는 파일이 많은 서비스가 아니라면 WAS의 디렉터리 구조는 노출하지 않아야 합니다. 이번에는 WAS에서 디렉터리 인덱싱 취약점을 노출하지 않는 방법과 노출해야 하더라도 상위 디렉터리에 이동 제한을 설정해 접근할 수 없게 만드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PerfView를 활용한 .NET GC 프로파일링

PerfView를 활용한 .NET GC 프로파일링

수많은 객체가 생성 및 소멸되는 게임 서버라면 CPU와 메모리 관리는 서버의 성능을 좌우하는 중요 요소가 되죠. 이번에는 PerfView를 이용해 .NET GC(Garbage Collection) 프로파일링에 필요한 기본 설정과 다양한 옵션을 소개해 보려고 합니다.

[여기보기] 쓸 것인가 말 것인가 그것이 문제로다, FTP 보안 설정 돌아보기

[여기보기] 쓸 것인가 말 것인가 그것이 문제로다, FTP 보안 설정 돌아보기

작업 중 대량 파일이나 대용량 파일을 서버 안팎으로 복사해야 하는 상황이 생겼을 때, 가장 쉽게 떠올리는 방법 중 하나가  ftp입니다. 다만, 파일을 복사하는 상황 자체가 제한적이고, 설치하는 FTP에 따라서 배포 라이선스가 다를 수 있고, 각자 선호하는 FTP가 다름으로 인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