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커 유료화 정책에서 재미난 포인트는 도커 데스크톱이라는 프로그램과 도커 엔진이 서로 별개 패키지라는 부분입니다. 커맨드라인으로 도커를 사용했던 분들께는 도커 엔진만으로도 충분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도커 엔진으로 다 대처할 수 있다면, 도커 데스크톱은 왜 필요한가?”라는 질문을 하시는
WSL
WSL2 활용도를 높여주는 고정 IP 설정
앞서 본 프로젝트 중 차용할 수 있는 기본 개념은 간단했습니다. Hyper-v와 WSL2에 기본 설정으로 잡혀있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없다면, 제어할 수 있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추가해서 붙이는 방식이었습니다. 이렇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추가해서 WSL2 네트워크…
리눅스용 메모리 프로파일러, Heaptrack(2/2)
GUI 환경에서 동작하는 GUI 분석기는 WSL로 설치한 리눅스 셸에서 실행해야 합니다. 리눅스 안에서 파일을 찾아 이동하는 건 번거로울 수 있으니, 수집 파일이 들어 있는 폴더 위에서 ‘Shift + 우클릭’을 누르면 ‘여기에서 Linux 셸 열기’로 바로 들어가는 방법을 추천합니다.
리눅스용 메모리 프로파일러, Heaptrack(1/2)
Heaptrack은 모든 메모리 할당마다 스택 트레이스(Stack Traces) 주석을 붙입니다. 전용 분석 도구를 활용해 힙 메모리(Heap Memory) 프로필도 볼 수 있으므로, 메모리릭이 발생하는 지점을 찾을 수 있습니다. Heaptrack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가볍게 쓰려했던 WSL2가 무겁게 다가온 순간
저는 매우 라이트한 사용자입니다. 개발 관련 업무를 직접적으로 하지 않기 때문에, 간단한 웹 페이지 수정을 확인하는 정도 또는 매뉴얼에 작성된 코드를 그대로 재현하면서 따라해보는 정도가 대부분입니다. 그래서 WSL에 우분투를 올려서 쓸 때 개인적으로 생각한 장점은 크게 2가지가…